생활체육지도사 2급 실기 - 용어
매치플레이 : 플레이어나 편이 상대방이나 다른 편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며 한 라운드 이상의 라운드를 플레이하는 방식을 말한다. 플레이어나 편은 상대방이나 다른 편보다 더 적은 타수(스트로크 수와 벌타의 합)로 홀을 끝낸 경우, 그 홀을 이기며, 이긴 홀의 수가 남은 홀의 수보다 더 많은 상태로 다른 편을 앞선 경우, 그 매치의 승자가 된다.
스트로크플레이 : 플레이어나 편이 그 경기에 참가한 다른 모든 플레이어나 편들과 경쟁하여 플레이하는 방식을 말한다. 플레이어나 편이 그 라운드의 모든 홀에서 홀아웃한 타수(스트로크 수와 벌타의 합)를 더하여, 모든 라운드를 가장 적은 타수로 끝낸 플레이어나 편이 그 경기의 승자가 된다.
교체 : 플레이어가 다른 볼을 인플레이 볼이 되게 함으로써 홀 플레이에 사용하고 있는 볼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루스 임페디먼트(loose impediment, 느슨한 장애물) : 고정되지 않거나 자라지 않는 것, 땅에 단단히 박혀있지 않은 것, 공에 붙어 있지 않은 것.
- 예시) 돌멩이(타이거 우즈 사례에서의 바위), 나뭇잎, 나뭇가지, 나무토막, 동물의 사체와 배설물, 벌레, 곤충, 그리고 그것들이 만든 흙더미나 거미줄, 퍼팅 그린 위에서의 모래와 흩어진 흙, 서리 이외의 눈과 천연 얼음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캐주얼 워터 또는 루스 임페디먼트로 취급
- 이슬과 서리는 루스 임페디먼트가 아님
- 어느 구역이든 루스 임페디먼트를 치우다가 공이 움직여도 무벌타이며 원래 위치에 리플레이스.
장애물 : 플레이어가 코스를 플레이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공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과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로 나뉨. ’코스의 경계물’과 ‘코스와 분리할 수 없는 물체’를 제외한 모든 인공물.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 :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이란 합리적인 노력으로 그 장애물이나 코스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고무래, 쓰레기, 골프카트, 그린 위에 임시로 놓인 깃대, 코스 경계선으로 사용된 임시 말뚝이나 로프 등)을 말한다.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은 제거하다가 볼이 움직여도 벌타가 없으나 원래의 위치 또는 합리적으로 추정되는 위치에 리플레이스 해야한다.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 불합리한 노력 없이는 움직일 수 없거나 그 장애물이나 코스를 훼손시키지 않고서는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로, 스프링클러 헤드, 카트 도로, 배수구, 맨홀 뚜껑, 벤치, 옮기지 못하는 거리목 등이 해당한다. 볼이 기대거나 가까이 있어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경우 패널티 없는 구제를 받을 수 있다.
- 예외1 : 패널티 구역 안에서는 그대로 플레이하거나 패널티를 받고 패널티 구역 구제를 받아야 함.
- 예외2 : OB나 해저드 경계(OB 말뚝이나 울타리)는 코스의 일부가 아니므로 이로 인한 구제 불가.
- 예외3 : 퍼팅 그린을 제외한 다른 구역에서는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이 플레이 선상에 있어도 구제 불가.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동수움일) : 동물이 판 구멍, 수리지,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일시적으로 고인 물 네가지로 패널티 없는 구제를 받을 수 있다. 단, 퍼팅 그린에서는 드롭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스하며, 패널티 구역에서는 구제받을 수 없다.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에서의 구제 절차
- 방해 여부 확인: 볼이 동물이 판 구멍 안에 있거나, 스탠스 또는 스윙 구역이 구멍으로 인해 방해 등 스트로크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인지를 확인합니다.
-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지점 찾기: 방해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홀에 가깝지 않은 가장 가까운 지점을 찾습니다. 이 지점은 볼이 있던 구역과 동일한 구역(일반 구역, 벙커, 퍼팅 그린)에 있어야 합니다.
- 구제 구역 설정: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지점으로부터 한 클럽 길이 이내의 구역을 구제 구역으로 설정합니다. 이 구제 구역 또한 홀에 가깝지 않아야 하고, 원래의 구역 안에 있어야 합니다.
- 드롭: 설정된 구제 구역에 볼을 드롭합니다.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 지점(비플) :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플레이 금지 구역으로부터 패널티 없는 구제를 받을 때 볼을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해야 할 기준점을 의미.
- 원래 볼이 놓여 있던 지점에서 홀에 더 가깝지 않으면서, 완전한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코스 상의 지점.
- 원래 볼 위치 파악 → 방해 요소 확인 → 홀에 더 가깝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 → 클럽으로 시뮬레이션 → 가장 가까운 지점 식별 → 코스 구역 확인
동물이 판 구멍 : 루스 임페디먼트로 규정된 동물(벌레나 곤충)이 판 구멍을 제외한, 동물이 지면에 판 모든 구멍을 말한다.
- 예시 ) 동물이 지면에 판 모든 구멍, 동물이 그 구멍을 팔 때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 동물이 그 구멍을 드나든 흔적이나 자국, 동물이 땅 속으로 구멍을 파느라고 불룩하게 솟아 오르거나 변형된 지면의 모든 부분
- 패널티 구역에서는 동물이 판 구멍으로 인한 구제를 받을 수 없고, 위험한 동물이 있는 경우 “위험한 동물이 있는 상태”에 대한 규칙이 적용되어 추가적인 구제를 받을 수 있다.
드롭 : 볼을 인플레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그 볼을 손에 들고 공중에서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 드롭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볼을 ‘플레이스’하거나 ‘리플레이스’하는 대신 사용 :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 패널티 구역으로부터의 구제, 언플레이어블 볼 선언, 분실구 또는 OB
- 구제를 받을 때 플레이어는 반드시 무릎 높이에서 그 볼을 손에서 놓되, 볼을 던지거나 굴리거나 볼에 스핀을 주거나, 볼이 정지할 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작을 하지 않음으로써 그 볼이 똑바로 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그 볼이 지면에 닿기 전에 플레이어의 몸이나 장비를 맞혀서는 안된다.
리플레이스 : “볼을 원래의 자리에 다시 놓는 행위”를 의미하며, “플레이스”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이미 인플레이 상태였던 볼이 어떤 이유로 인해 움직이거나 집어 올려졌을 때, 그 볼을 원래의 정확한 위치로 되돌려 놓는 것을 말한다. 인플레이 하려는 의도 없이 볼을 내려놓은 경우 리플레이스 및 인플레이볼이 아니다.
- 리플레이스 방법 : 볼을 리플레이스 할 때에는 반드시 원래의 볼을 사용, 원래 있던 정확한 지점에 하여야 하며, 리플레이스 할 수 있는 사람은 플레이어 또는 그 볼을 집어 올렸거나 움직이게 한 사람 뿐이다.
- 퍼팅 그린에서 볼을 닦거나, 규칙에 따라 구제받거나, 식별을 위해 볼을 집어 올린 후 리플레이스.
-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을 제거하다가 볼이 움직인 경우, 외부의 영향(다른 플레이어, 동물, 경기위원 등)에 의해 볼이 움직인 경우 벌타 없이 원래 위치에 리플레이스.
- 자연의 힘에 의해 볼이 움직인 경우 구제받고 드롭 또는 자연의 힘에 의해 움직여 다른 코스 구역으로 이동하거나 패널티 구역으로 들어간 경우, 반드시 원래의 지점에 벌타 없이 리플레이스. 단, 퍼팅 그린 위에 있던 볼이 마크 없이 자연의 힘에 움직인 경우, 새로운 지점에서 플레이.
- 규칙을 위반하여 잘못된 지점에 볼을 리플레이스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리플레이스 한 볼을 플레이하면 일반 패널티(매치플레이 홀패, 스트로크플레이 2벌타)
- 집어올리거나 움직인 볼을 리플레이스 하기 전에 루스임페디먼트를 제거하는 것을 금지한다.(그린 예외)
마크 : 볼이 정지한 지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그 볼 바로 뒤나 옆에 볼 마커를 놓아두거나 클럽을 들고 그 볼 바로 뒤나 옆의 지면에 그 클럽의 한쪽 끝을 대는 것을 말한다.
박힌 볼(embedded ball) : 직전의 스트로크로 인하여, 플레이어의 볼이 그 볼 자체의 피치 마크 안에 들어간 채 그 볼의 일부가 지면 아래에 있는 상태를 말하며 볼과 흙 사이에 루스 임페디먼트가 끼어 있어도 박힌볼로 인정된다.
- 일반 구역에서 벌타 없이 구제 가능하나, 벙커나 패널티 구역에서는 불가하다.
일반구역(티패벙퍼) :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시작하는 티잉 구역, 물(강, 연못 등)이나 다른 환경적인 이유로 플레이하기 어려운 구역으로 빨간색 또는 노란색 말뚝이나 선으로 표시되는 패널티 구역, 벙커, 퍼팅 그린을 제외한 코스의 모든 구역을 말한다.
- 예시 : 페어웨이, 러프, 나무가 있는 곳, 벙커나 패널티 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모든 흙이나 모래 지역 등
벙커 : 모래로 특별하게 조성된 구역으로써, 주로 풀이나 흙이 제거된 채 움푹 꺼진 지형으로 된 구역을 말한다. 벙커의 경계를 이루는 잔디로 덮인 둑이나 가장자리도 벙커의 일부로 간주된다. 벙커 내에 있는 흙 또한 벙커의 일부이며 루스 임페디먼트가 아니다.
- 백스윙을 시작하기 전까지 모래에 클럽이 닿으면 2벌타이고, 벙커 내에서도 루스 임페디먼트 제거 가능.
- 벙커 내의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동수움일)로 인해 구제받을 경우 벙커 내에서만 패널티 없는 구제 가능(최대한의 구제지점)
- 언플레이어블 볼을 선언한 경우 1벌타인 스트로크 및 거리 구제, 벙커 내 후방선 구제(벙커 내에서 홀-볼 선상 뒤로 빠져 드롭) 또는 2벌타로 벙커 밖 후방선 구제(벙커 밖에서 홀-볼 선상 뒤로 빠져 드롭)
최대한의 구제 지점 :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 지점’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볼이 놓인 코스 구역을 바꿀 수 없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사용. 벙커, 패널티 구역의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나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이 매우 넓거나, 해당 구역 내에서 가장 가까운 완전한 완전한 구제를 받는 것이 불가능할 때 적용. → 최대한 구제하나 최소한의 방해가 남음.
분실(lost), 분실 구(lost ball) : 플레이어나 플레이어의 캐디 또는 다른 사람이 볼을 찾기 시작한 후 3분 안에 볼을 발견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볼이라고 확인할 수 없는 경우나 다른 볼(잠정구)을 인플레이 시킨 경우.
- 볼이 분실구로 판정되면 플레이어는 OB와 동일하게 스트로크 및 거리 구제를 받아야 함.
패널티 구역 내 분실 : 1벌타를 받고 패널티 구역 관련 규칙(홀과 볼이 경계를 넘어간 지점을 연결한 선상의 후방에 드롭, 또는 경계를 넘어간 지점에서 2클럽 길이 이내에 드롭 등)
스트로크 : 볼을 치기 위하여 그 볼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클럽을 움직이는 동작을 말한다. 규칙에서 ‘볼을 플레이한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것은 스트로크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로크가 아닌 것 : 플레이어가 다운스윙 도중에 볼을 치지 않기로 결정하여 클럽헤드가 볼에 도달하기 전에 의도적으로 멈추었거나 클럽헤드를 도저히 멈출 수 없어서 의도적으로 볼을 맞히지 않은 경우, 플레이어가 연습 스윙을 하거나 스트로크를 하려고 준비하는 동안에 우연히 볼을 치게 된 경우
스트로크와 거리(stroke and distance) : 스트로크와 거리란 플레이어가 직전의 스트로크를 한 곳에서 볼을 플레이함으로써 규칙에 따라 구제를 받는 경우의 절차와 패널티를 말한다. 플레이어가 1벌타를 받으며 직전의 스트로크를 해서 얻은 홀까지의 거리상의 이점을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로크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라스스선구) : 정지한 볼의 라이(위치와 상태), 의도된 스탠스 구역(발을 놓을 예상 구역), 의도된 스윙 구역(클럽이 움직일 예상 구역), 플레이 선(홀까지의 예상 경로), 볼을 드롭하거나 플레이스 할 구제구역을 말한다.
- ‘코스는 있는 그대로 플레이한다’는 원칙
- ‘개선’ 금지 : 스트로크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인위적으로 개선해서는 안됨.
- 구제 여부의 판단 기준 :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로부터 구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스트로크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가 방해받는지를 기준으로 함.
개선 : ‘스트로크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 또는 플레이에 영향을 미치는 그 밖의 물리적인 상태를 규칙에 위배되게 변경함으로써 이점을 얻는 행위. 개선 행위가 발생되면 일반 패널티 후 그 상태에서 계속 플레이.
아웃 오브 바운즈(out of bounds) : 위원회가 규정한 코스 경계 밖의 모든 구역을 말한다. 그 경계 안의 모든 구역은 인바운드이며 코스의 경계는 지면으로부터 위와 아래, 양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얀 말뚝 또는 선으로 표시하며 볼의 일부라도 경계선 위에 있거나 코스 안에 있다면 OB가 아니다. 말뚝이나 선 자체를 뽑거나 옮길 수 없다.
패널티 구역 : 바다, 호수, 연못, 강, 도랑, 지표면의 배수로, 하천을 포함한 코스 상의 모든 수역과, 위원회가 패널티 구역으로 규정한 코스의 모든 부분을 말한다. 패널티 구역은 OB와 달리 일부라도 선에 닿아 있다면 패널티 구역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말뚝이나 선 자체를 뽑거나 옮길 수 없다.
- 패널티 구역에는 노란 패널티 구역, 빨간 패널티 구역 두가지 유형이 있으며, 위원회가 패널티구역의 색깔을 표시하지 않은 경우 그 패널티 구역은 빨간 구역으로 간주된다. 빨간색 패널티 구역은 플레이 선에 옆으로 놓인 패널티 구역, 노란색 패널티 구역은 플레이 선을 가로지르는 패널티 구역을 표시한다.
패널티 구역에서의 플레이 : 패널티 구역 안에 있는 볼을 그대로 플레이하거나, 1벌타를 받고 구제 가능
- 스트로크 및 거리 구제
- 후방선 구제(노란 패널티 구역) : 볼이 패널티 구역 경계선을 마지막으로 넘어간 지점과 홀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그린 후 이 선상에서 홀에서 먼 지점을 선택하고 그 지점에서 한 클럽 길이 이내의 구제구역에 볼을 드롭
- 측면 구제(빨간 패널티 구역) : 볼이 패널티 구역 경계선을 마지막으로 넘어간 지점에서 두클럽 길이 이내의 구제구역에 볼을 드롭하며 볼이 경계선을 넘어간 지점과 같은 거리에 있어야 한다.
인바운드 : 코스의 경계 안에 있는 모든 지면과 물체는 지면에 있든 지면 위 또는 아래에 있든 모두 인바운드에 있는 것이다.
어드바이스(플스클) : 플레이어가 홀이나 라운드를 플레이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것들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의도를 가지고 하는 말이나 행동을 말하며, 플레이 하는 방법, 스트로크를 하는 방법, 클럽 선택 등이 있다.
- 홀, 퍼팅그린, 페어웨이, 패널티구역, 벙커, 플레이어의 볼 위치처럼, 코스 상에 있는 것들의 위치, 거리 정보, 골프 규칙과 같은 정보는 어드바이스에 포함되지 않는다.
- 자신의 캐디, 동료에게는 어드바이스 받을 수 있으나, 그 외의 사람에게 어드바이스를 주거나 받으면 일반 패널티.
움직이다 : 정지했던 볼이 원래의 지점을 벗어나 다른 지점에 정지하여 볼의 위치가 눈에 띄게 바뀌는 것.
외부의 영향(사동자인) : 외부의 영향이란 플레이어의 볼이나 장비 또는 코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사람과 사물을 포함하는 개념.
- 플레이어와 플레이어의 캐디, 플레이어의 파트너와 파트너의 캐디, 매치플레이에서의 상대방과 그 상대방의 캐디를 제외한 모든 사람(스트로크플레이에서 다른 플레이어는 ‘외부의 영향’에 포함)
- 모든 동물(루스 임페디먼트로 규정된 동물(곤충, 벌레)을 제외)
- 자연의 힘을 제외한 모든 자연물이나 인공물 또는 그 밖의 모든 것(움직이고 있는 다른 볼 포함)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볼이 움직인 경우
- 정지한 볼이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움직인 경우 : 벌타 없이 원래 있던 지점에 볼 리플레이스.
- 움직이고 있는 볼이 외부의 영향을 맞힌 경우 : 벌타 없이 정지한 그 자리에서 플레이. 단, 퍼팅 그린에서 스트로크한 볼이 외부의 영향을 맞춘 경우, 스트로크는 취소되며 플레이어는 볼을 원래 자리에 리플레이스하고 다시 스트로크해야 함.
자연의 힘(바람, 물, 중력)에 의해 볼이 움직인 경우 : 벌타 없이 볼이 움직인 그 자리에서 플레이해야 함
- 예외 : 구제받고 드롭 또는 플레이스하여 정지한 볼이 자연의 힘에 의해 움직여 다른 코스구역(벙커)으로 이동하거나 패널티 구역으로 들어간 경우 반드시 원래의 지점에 리플레이스.
- 일시적인 물은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로 분류되어 별도의 구제를 받을 수 있음.
잘못된 그린 : 플레이어가 플레이 중인 홀의 퍼팅 그린을 제외한, 코스 내의 다른 퍼팅 그린(프린지 포함) 볼이 잘못된 그린에 정지한 경우, 플레이어는 그 볼을 플레이할 수 없으며 패널티 없는 구제를 받아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 패널티 부여.
잘못된 볼 : 자신의 볼이 아닌 다른 사람의 볼, 로스트 볼, 인플레이 상태에서 제외된 자신의 볼 등 인플레이 볼이 아닌 모든 볼. 잘못된 볼을 플레이한 경우 일반 패널티를 받고 올바른 볼로 플레이해야 함.
잘못된 장소 : 규칙에 따라 정해진 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스트로크를 하는 상황. 잘못된 장소에서 플레이한 경우 일반 패널티를 받고 올바른 장소에서 다시 플레이해야 함.
- 예시) 구제 구역 이외의 플레이, 티잉 구역 밖에서 티샷, 규칙에 따르지 않은 리플레이스
장비 : 클럽, 볼 뿐 아니라 골프백, 의류, 신발 등 매우 넓은 범위를 포함.
- 승인된 장비 사용, 클럽 수 제한, 라운드 중 클럽 손상, 장비의 인위적 변경 금지 등의 주요 규칙이 존재.
중대한 위반 : 일반 패널티보다 큰 심각한 규칙 위반으로 대부분의 경우 실격. 플레이의 공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거나, 플레이어에게 현저한 이득을 주거나, 다른 플레이어에게 현저한 불이익을 초래하는 행위.
- (바로잡지 않은 경우) 잘못된 볼 플레이, 잘못된 장소 플레이, 스코어카드 관련 위반, 합의의 반칙, 볼의 위치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고의적인 행동 등
캐디 : 라운드 동안 클럽을 운반하거나 취급하는 등 플레이어를 돕는 사람.
- (할 수 있는 행동) 조언 제공, 클럽 운반 및 취급, 볼 찾기, (퍼팅 그린에서) 볼 닦기, (플레이어의 허락을 받아) 볼 마크하기, 집어 올리기, 플레이스, 리플레이스, 코스 관리 및 정돈 등
- (할 수 없는 행동) 개선, 드롭, 퍼팅 라인 지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어의 볼 뒤 또는 홀 뒤에 서서 플레이 선을 돕는 행위,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다른 플레이어에게 조언 제공 등
코스(티일패벙퍼) : 위원회가 정한 경계 안의 플레이 구역 전체를 말한다. 코스의 경계 안에 있는 모든 구역은 인바운드, 경계 밖에 있는 구역을 아웃오브바운드라고 함. 티잉 구역, 일반 구역, 패널티 구역, 벙커, 퍼팅 그린 다섯가지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티잉 구역 : 홀 플레이를 시작할 때 반드시 플레이해야 하는 구역을 말한다. 티잉 구역은 두 클럽 길이의 깊이를 가진 직사각형 구역으로, 그 앞쪽 경계에는 위원회가 설정한 두 개의 티마커의 맨 앞부분의 점들을 이은 선으로 규정되며, 그 좌와 경계는 두 개의 티 마커의 바깥쪽 점들로부터 후방으로 두 클럽 길이 이내로 규정된다. 티잉구역은 코스의 구역으로 규정된 다섯가지 구역 중 하나이며 코스 상의 다른 모든 티잉 장소는 일반구역의 일부이다.
코스와 분리할 수 없는 물체 : 코스의 일부로 간주되며,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과 달리 어떠한 상황에서도 벌타 없이 구제를 받을 수 없는 물체. 일반적으로 위원회가 로컬 룰로 지정.
- 예시) 고정된 다리 또는 통로, 카트도로 외 도로, 제방 또는 댐 코스와 분리할 수 없는 물체란 반드시 있는 그대로 플레이하여야 하며, 그것으로부터 패널티 없는 구제가 허용되지 않는 코스의 일부로 위원회가 규정한 인공물을 말한다.
코스의 경계물 : 코스의 외부(OB)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인공물로 패널티 없는 구제가 불가하고, 움직일 수 없으며, 지면에서 상하로 무한히 확장한다. (볼 전체가 경계 밖에 있어야 OB)
- 예시) OB를 표시하는 흰색 말뚝, 흰색 선, 울타리, 벽 등
프로비저널 볼(provisional ball) : 플레이한 볼이 아웃오브바운즈로 갔을 수도 있는 경우, 패널티 구역 밖에서 분실되었을 수도 있는 경우 시간 절약을 위해 잠정적으로 플레이한 다른 볼을 말한다. 규칙에 따라 인플레이볼이 되지 않는 한, 그 볼은 플레이어의 인플레이볼이 아니며 프로비저널 볼을 플레이한다는 명확한 의사 표현을 해야 한다.
플레이 금지 구역 : 코스 내의 특정 구역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플레이가 허용되지 않는 곳을 말함. 볼이 플레이 금지 구역에 있거나 플레이 금지 구역이 플레이어의 스탠스 또는 스윙 구역에 방해를 줄 경우, 플레이어는 반드시 패널티 없는 구제를 받아야 한다. 무시하고 플레이 할 경우 일반 패널티.
- 예시) 수리지(비정상적인 코스 상태 中), 패널티 구역의 일부
수리지 : 위원회가 그 코스에서 수리지로 규정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
- 수리지의 경계 안의 모든 지면, 위원회나 코스 관리팀에 의하여 만들어진 모든 구멍, 코스를 세팅, 관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구멍, 나중에 치우려고 쌓아둔 깍아낸 잔디나 낙엽의 더미 또는 그 밖의 모든 자재(단, 쌓아둔 자연물은 루스 임페디먼트이기도 함)
플레이 선 :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하여 볼을 보내고자 하는 선을 말하며, 그 선으로부터 지면 위와 그 선 양 옆의 합리적인 거리에 있는 구역 등을 포함한다. 플레이 선이 반드시 두 지점 사이의 직선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홀 : 플레이중인 홀의 퍼팅 그린에서 그 홀의 플레이를 끝내는 지점을 말한다.
- 홀의 직경은 반드시 4.25inch(108mm)여야 하며, 그 깊이는 4인치(101.6mm) 이상이어야 한다.
- 홀 안에 원통이 사용된 경우, 그 원통의 외경이 4.25inch를 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원통은 반드시 그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1inch(25.4mm) 아래에 묻혀야 한다. 한 홀의 플레이는 티잉구역에서 시작되며, 그 볼이 퍼팅 그린에 있는 홀에 들어갈 때 끝난다.
스탠스 :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준비하고 실행하려고 자세를 잡는 몸과 발의 위치를 말한다.
라이 : 볼이 정지해 있는 지면 위 또는 지면과의 접촉 상태를 의미. 위치 뿐 아니라 볼 주변의 지면, 풀, 나뭇가지, 모래, 물, 볼이 놓여 있는 방식 등 볼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환경을 포함.
볼마커 : 볼이 놓인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전, 플라스틱 또는 급속 칩 등 작고 얇은 인공물.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 지점으로부터 구제를 받기 위해 볼의 위치를 마크(볼 바로 뒤 또는 옆) → 볼 집어 올리기 → 볼 리플레이스
구제 구역(기크위) : 플레이어가 규칙에 따라 볼을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하여 구제를 받을 때, 반드시 그 안에 볼을 놓아야 하는 특정 구역을 의미.
- 구제 구역에서의 기준점 :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가장 가까운 완전한 구제 지점, 직전 스트로크를 한 지점(스트로크와 거리 구제를 받을 때), 볼이 패널티 구역 경계를 마지막으로 통과한 지점, 언플레이어블 볼 선언 시 후방선
- 구제 구역의 크기
- 1클럽 길이 : 대부분의 패널티 없는 구제 및 스트로크와 거리 구제, 벙커에서의 언플레이어블 볼 구제 시 적용되며 클럽 길이는 백에 있는 클럽 중 가장 긴 클럽을 기준으로 함.
- 2클럽 길이 : 빨간색 패널티 구역에서 측면 구제를 받을 때, 또는 일반 구역이나 퍼팅 그린에서 언플레이어블 볼 구제를 받을 때 적용.
- 구제 구역의 위치 제한 : 홀에 더 가깝지 않고, 올바른 코스 구역 내에 있으며, 구제를 받는 방해 요소로부터 완전한 구제를 받아야 함
홀에 들어가다(홀 아웃) : 플레이어가 그 홀을 마치는 방법으로 볼이 홀 안에 있고, 볼 전체가 퍼팅 그린 면 아래에 있어야 한다. 볼이 홀 안으로 떨어질 때까지 10초를 기다릴 수 있고, 깃대에 볼이 기댄 채 정지해 있다면 볼의 일부라도 퍼팅 그린의 표면 아래에 있으면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10초가 지나 떨어지면 1벌타가 추가된다.
(스코어) 마커 :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플레이어의 스코어카드에 그 플레이어의 스코어를 기록, 확인, 제출 전 확인(서명) 할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 위원회에서 지정된다.
위원회 : 경기를 주관하고 코스를 관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한다. 경기 조건 설정, 로컬 룰 제정, 코스 세팅 및 표시, 경기 중단 및 재개 결정, 규칙 적용 및 분쟁 해결 등의 역할을 한다.
인플레이 : 볼이 티잉 구역에서 스트로크를 한 순간부터 해당 홀의 플레이가 끝날 때까지의 활성 상태를 의미.
- 인플레이 상태의 시작 : 티샷, 구제 후 드롭 또는 플레이스
- 인플레이 상태의 유지 : 볼이 정지했을 때, 움직이고 있을 때, 깃대나 코스의 어떤 것에 닿았을 때
- 인플레이 상태의 종료 : 홀에 들어갔을 때, 분실되었을 때, OB, 집어올렸을 때, 교체, 잘못된 볼로 스트로크 했을 때
퍼팅그린 : 퍼팅을 하도록 특별하게 조성된 구역 또는 위원회가 퍼팅그린으로 규정한 구역을 말한다. 퍼팅 그린 위에 있는 볼은 반드시 마크한 후 집어 올리고 닦을 수 있으며, 간단한 퍼팅 그린의 손상 수리, 루스 임페디먼트 제거, 물, 이슬, 서리를 손으로 닦아내거나 수건으로 훔쳐내는 것이 허용. 플레이어나 플레이어의 캐디 또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볼이나 볼 마커가 우연히 움직이더라도 패널티가 없다.
클럽 길이 : 플레이어가 라운드 동안 가지고 있는 14개(또는 그 이하)의 클럽들 중 퍼터를 제외한 가장 긴 클럽의 길이를 말한다. 클럽 길이는 플레이어의 각 홀의 티잉 구역을 규정하거나 규칙에 따른 구제를 받을 때 그 플레이어의 구제구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티 : 티잉구역에서 볼을 플레이하기 위하여 볼을 지면 위에 올려놓는 데 사용하는 물체를 말한다. 티는 반드시 그 길이가 4inch(101.6mm) 이하이고 장비규칙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